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활자

  •  이미지
  •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현종실록자는 「현종실록」을 간행하기 위하여 낙동계의 활자를 구득하고 여기에 새로이 주조하여 섞은 동활자
활자명 현종실록자
한문명
시대 조선 숙종 3년(1677)
제작시기
종류 금속활자
 이미지
 이미지
내용

현종실록자는 「현종실록」을 간행하기 위하여 낙동계의 활자를 구득하고 여기에 새로이 주조하여 섞은 동활자이다.
1. 현종실록자_남화경주해산보
2. 현종실록자_남화경주해산보_2

 

 

현종실록자는 숙종 3(1677)년에 「현종실록」을 간행하기 위하여 낙동계의 활자를 구득하고 여기에 새로이 주조하여 섞은 동활자이다.

 

현종실록자는 본시 주조의 솜씨가 정교하지 못하나 글자체가 바르고 깨끗하여 조선조 말기까지 역대 실록을 비롯하여 열성어제, 각종 지장 및 많은 일반 서적의 간행에 사용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민속박물관에는 현종실록자의 실물이 남아 있는데 활자의 뒷면은 활등처럼 속으로 움푹 파져있다.

 

이는 18세기 후기 이후의 활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청동의 사용량을 절약하면서 반건성 또는 불건성의 점착물을 사용하여 조판을 하는 경우 점착물이 그 속에 들어차면 움직이지 않도록 고안되었던 방법이다.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