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과학기술관

2F 한국과학기술사관 약도
한국과학기술사관

청동기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보여주기 위한 전문관으로, 문화적 개방성과 융합을 토대로 끊임없이 발전한 과학기술의 창조적 계승은 천문, 인쇄, 지리, 군사, 금속, 요업 등 6개 주제로 구성하고, 모방에서 창조로 발전해온 근현대과학기술은 시대별 대표 성취 및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전시하고 있습니다.

대표전시품 소개

  • 천문관측 발달사

    실감콘텐츠 영상을 통해 고인돌과 고분벽화의 별자리부터 천체망원경을 사용하며 우주를 관측하는 현재까지 우리나라 천문관측과 과학기술 발전의 역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 천상열차분야지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대해 정보영상 및 복제품, 실물 탁본 등을 통해 알아보고, 중국의 순우천문도와 비교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천문도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영측우대

    수군 통제영이 경남 통영에 있을 때 설치했던 것으로, '신미2월'이라는 명문을 통해 1811년 또는 1871년에 만든 것으로 짐작되는 통영측우대(보물) 실물과 측우기 정보영상을 통해 조선시대에 세계 최초로 전국 강우량 측정망을 구축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표

    하천의 물 높이를 보고 가뭄과 홍수를 예측하는 도구이자, 세종시대의 획기적인 발명품 중 하나인 수표에 대해 미디어테이블을 통해 체험해봄으로써 조선시대 기상관측 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동궐도

    동궐도는 1830년 이전에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입니다. 동궐도에 있는 천문관측 기구들에 대한 미디어 아트 체험을 통해 조선시대에 천문관측을 중요시했던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자격루

    1434년 장영실에 의해 완성되어 경복궁 보루각에 설치되었으며, 조선의 새로운 국가표준시계로 사용된 자격루의 복원품과 작동 전시품 체험을 통해 조선시대 시계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옥루

    자격루가 완성된지 4년 후인 1438년에 장영실이 세종을 위해 만든 자동물시계인 옥루 복원품과 작동 전시품 체험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혼천시계

    1669년 제작된 송이영 혼천시계와 1762년 제작된 홍대용 혼천시계의 복원품과 작동 전시품에 대한 체험을 통해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기계 시계 제작 기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직지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철』에 대한 체험을 통해 우리나라 금속활자 인쇄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동국팔도지도

    조선 영조 때에 정상기가 제작한 『동국지도』를 모본으로 하는 채색필사본이자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된 『동국팔도지도』를 통해 조선 후기 대축척 지도 발달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 대동여지도

    김정호가 1861년에 만든 분첩절첩식 지도인 대동여지도에 대해 실제 크기의 바닥 영상으로 연출된 인터랙티브 체험을 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지도 제작 기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화차

    1452년 개발된 이동식 발사 무기로 행주산성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화차에 대한 체험을 통해 조선시대 화약병기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거북선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돌격선으로 활약한 거북선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조선 수군이 되어보는 인터랙티브 체험을 통해 조선시대 군함의 우수성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청동거울

    청동거울의 제작기술, 부식 및 복원 과정을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통해 체험해 봄으로써 초기 철기시대 주조기술의 우수성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쌍두마차

    고조선시대에 사용되었던 두 마리의 말이 함께 끄는 수레인 쌍두마차 복원품과 권총모양, 삿갓모양, 을자모양의 청동 가공 부속품 체험을 통해 당시 중국과 비교되는 청동 가공기술의 우수성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 한국 도자기 발달사

    삼국시대 토기부터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특히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백자호(달항아리), 백자청화모란문호, 백자유개호 등이 한 곳에 전시되어 우리나라 도자기 제작기술의 발달을 알 수 있습니다.

  • 성덕대왕신종

    신라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771년에 완성한 종으로, 현존하는 한국 최대의 종인 성덕대왕신종에 대한 영상콘텐츠 체험을 통해 세계적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아름다운 종소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포니

    1974년에 개발된 우리나라 최초의 고유모델 자동차로 1975년 12월 출시하자마자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포니의 개발과정과 세계 수출을 미디어아트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장을 알 수 있습니다.

  • 애틸런틱배런호

    1974년에 건조된 초대형 유조선으로, 한국 조선 산업의 역사적 전환점을 마련한 선박인 애틸랜틱 배런호의 성공과 선박 건조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이 세계적인 조선 강국으로 성장한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 과학기술 발전의 주역들

    전통과학기술과 근현대과학기술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에 대해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