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활자

  •  이미지
  •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갑진자는 성종 15년 8월 24일에 착수하여 그 다음해 3월에 완성된 동활자이다.
활자명 갑진자
한문명
시대 조선 성종 15년(1484)
제작시기
종류 금속활자
 이미지
 이미지
내용

갑진자는 성종 15년 8월 24일에 착수하여 그 다음해 3월에 완성된 동활자이다.
1. 갑진자_식물본초
2. 갑진자_신편고금사문류취

 

 

갑진자는 성종 15(갑진?1484)년 8월 24일에 착수하여 그 다음해 3월에 완성된 동활자이다.

 

자본은 대내에 소장된 「구양공집」과 「열녀전」으로 하고 부족한 글자는 박경에게 쓰게 하여 중자와 소자로 30여만자를 주성하였다.

 

활자의 크기는 중자 1.0X1.1㎝, 소자 0.5X0.5㎝이었다. 갑진자를 새로 주성한 동기는 당시에 주로 사용되었던 갑인자와 을해자의 활자가 커서 종이의 소모가 심하고 권질이 무거워 불편하였으며 오랜 동안의 사용으로 인한 활자의 보주로 인쇄가 처음처럼 깨끗하지 못한데다 을유자의 활자모양이 부정하여 사용하기를 꺼려했던 데에 있었다.

이러한 동기에서 새로 주성되었으므로 종래의 어느 활자보다도 크기가 작으면서도 활자모양이 바르고 예쁘며, 서적이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가 편리하였다.

 

갑진자는 갑인자와 을해자 다음으로 오래 사용되었으나, 중종 이후에는 보주가 많아지게 되었다.

 

활자가 작고 자획이 가늘어 쉽게 마멸된 까닭에 인쇄가 깨끗하지 못하고 판독하기 어려운 부분이 적지 않다.

 

갑진자로 인쇄된 책으로는 식물본초(食物本草), 신편고금사문유취(新編古今事文類聚) 등이 있다.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