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수의 역사

  • 진법 이미지
  • 진법 이미지
  • 진법 이미지
  • 진법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숫자는 어떻게 표기해왔을까?
이름 진법
분류 수의 표현
연대 기원전 3,000~기원전 2,000년
진법 이미지
진법 이미지
진법 이미지
진법 이미지
내용

  우주 정거장에서 인간과 외계인 수학자가 수학을 논하기 위해 만났는데 서로 사용하는 숫자 개념이 달랐어요. 인간은 ‘9’라고 말하는데, 외계인은 ‘1001(2진법)’라고 하는 것이었어요. 한참 갸우뚱거리던 인간은 손가락이 두 개밖에 없는 외계인의 손을 보고서야 그 이유를 알게 되었어요. 0부터 9까지 쓰는 인간의 셈이 0과 1 두 개로만 수를 나타내는 외계인의 셈과 맞을 리가 없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십진법과 이진법의 논리를 이해하게 되는 순간 이야기가 일사천리로 진행될 수 있었어요. 참 아름다운 수학 세상이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10진법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을까요? 여러 가지 면에서 10진법은 가장 자연스러운 선택이었을 거예요. 무엇보다도 인간에게는 숫자를 헤아릴 손가락이 열 개뿐이니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수는 부터 까지 개의 숫자를 가지고, 10을 한 묶음으로 해서 만들어진 것이에요. 예를 들어 1이 10개가 모이면 10이 되고, 10이 또 10개가 모이면 100이, 그리고 100이 10개면 1000이 되는 식이죠. 10과 100 사이의 숫자라도 10이 될 때마다 숫자의 이름이 달라져요. 20, 30, 120, 130처럼 말이에요. 이렇게 1부터 시작해서 10개가 될 때마다 다른 이름의 수를 만들어가면서 점점 큰 수가 되는 것이 바로 십진법이에요.
  그럼 10이 아닌 다른 규칙으로 만들어진 수도 있을까요? 오로지 0과 1만을 사용하여 숫자를 표기하는 이진법이 있어요. 컴퓨터와 인간이 소통하는 방법을 보면 이 이진법을 발견할 수 있지요.
  학교에서 사용하는 OMR카드를 살펴볼까요? 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이 컴퓨터에게 보내는 OMR카드에요. OMR카드에서 문항마다 점수를 부여하는 배점 부분을 잘 살펴보면, 정수 부분과 소수 이하에 표시된 수 ①, ②, ④, ⑧, ?을 볼 수 있을 거예요. 왜 1, 2, 3, 4, 5가 아니라 1, 2, 4, 8, 16일까요? 이것은 컴퓨터가 사용하는 이진법의 자릿수이기 때문이지요. 만일 2점을 배점하려면 ②에 마킹을, 7점을 배점하려면 ①, ②, ④에 마킹을 하면 되는 식이에요. 이 다섯 가지 숫자만으로도 31까지 배점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어느 날 올해의 신수를 보았더니 점쟁이가 하는 말, 금년에는 공부에 푹 빠질 (점)괘가 나왔으니 이 기회에 수학을 가까이 하여 수학에 빠져 보라고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옛날 중국에서부터 전해지는 《주역》이라는 책이 있답니다. 이 책은 음양의 원리로 천지 만물의 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한 유교 경전이지요.
  이 주역에 따르면 한자의 한 일(一)처럼 쭉 그은 선이 양(陽)으로 1을 나타내고, 양에서 가운데가 끊어진 모양을 한 것이 음(陰, --)으로 0을 나타내는데, 인간의 모든 행과 불행은 바로 이 음양의 조화와 부조화에서 비롯된다고 해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음과 양, 이 2개의 기호에서 시작해 8괘가 나오고, 그것을 기반으로 다시 64개의 괘가 만들어지면서 (점)괘가 나오는데 이 (점)괘를 통해 세상과 인간의 운명을 알 수 있다는 것이랍니다.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한가운데의 태극 도형과 4괘, 곧, 건(乾), 곤(坤), 감(坎), 리(離)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것 역시 이진법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죠. 4괘가 담고 있는 뜻을 살펴보면 동양문화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주역이 이진법적 논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진법 외에도 여러 가지 진법들이 생활 속에서 실제로 많이 쓰이고 있어요. 칠진법의 경우 7일을 한 주간으로 하는 주간 단위로 사용되고, 십이진법은 연필 12자루를 한 다스라고 하는 데서 알 수 있겠죠? 아! 1년도 12개월을 한 단위로 하니까 이것도 십이진법에 해당되겠네요. 또 육십진법도 자주 사용돼요. 시간을 나타낼 때 60초가 모여 1분이 되고, 60분이 모여 1시간이 되는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지요. 또, 백진법이란 것도 있어요. 100년이 지날 때마다 세기가 달라지죠? 바로 그게 백진법에 따른 것이랍니다. 
 

 

*사진 제목 및 출처
1.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한 십진법
2. OMR카드
3. 중국 ‘주역’의 수
4. 우리나라 태극기의 수
5. 십이진법 사용의 예

감수 : 이동흔 교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