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수의 역사

  • 도형수 이미지
  • 도형수 이미지
  • 도형수 이미지
  • 도형수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도형과 수의 만남
이름 도형수
분류 수와 도형
연대 기원전 500년 경
도형수 이미지
도형수 이미지
도형수 이미지
도형수 이미지
내용

  도형과 수를 관련시키려는 시도는 고대 피타고라스 시대부터 계속 되어 왔어요. 이러한 시도는 대개 특정한 도형에 특정한 수를 대응시키는 것이었어요.
  예를 들면 사진 1번과 2번처럼 한 변의 길이가 1인 삼각형에 수 3을 대응시키는 식이랍니다.
  지금부터 도형과 관계된 수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장 처음 알아 볼 것은 삼각수예요. 삼각수는 간단히 말하자면, 동일한 물건을 정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랍니다. 사진 3번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이지요. 이 때 각각의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3, 6, 10, 15…에서 각각의 수가 삼각수에 해당하지요.
  그럼 사각수는 어떤 것일까요? 사각수는 말 그대로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랍니다. 사진 4번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이지요. 이때 각각의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4, 9, 16, 25…에서 각각의 수가 사각수에 해당해요.
  마지막으로 오각수에 대해 알아볼까요? 위의 삼각수와 사각수를 이해했다면 오각수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마지막 5번 사진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거예요. 이 때 각각의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1, 5, 12, 22, 35, 51…에서 각각의 수가 오각수에 해당하는 것이랍니다.

 


*사진 제목 및 출처
1. 도형과 수의 대응
2. 도형과 수의 대응/위키피디아
3. 삼각수
4. 사각수
5. 오각수

감수 : 이동흔 교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