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축음기

  •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다양한 음반들의 종류 (5)
이름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분류 음반
연대 1888년 ~ 1960년
음성 파일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파테 디스크 이미지
내용

  19세기 말부터 1950년대까지 생산된 디스크 음반의 절대 다수는 바늘이 좌우로 진동하면서 녹음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수평녹음 디스크였지만, 1912년부터 1929년까지 생산된 미국 에디슨 사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1905년부터 1931년까지 생산된 프랑스 파테 프레르사의 파테 디스크는 실린더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녹음된 디스크였어요.
  수직으로 녹음된 에디슨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기존의 디스크보다 훨씬 세밀한 1인치 당 150개의 소릿골을 녹음할 수 있었는데, 이 때문에 같은 크기의 보통 디스크보다 훨씬 긴 음악을 담을 수 있었어요. 에디슨사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보통의 디스크처럼 쇠바늘을 단 사운드박스로 재생하는 대신 실린더 축음기와 마찬가지로 작은 다이아몬드를 단 리프로듀서를 통해 음반을 재생하도록 했어요. 음질이 상당히 좋아서, 당시의 녹음 음반에서 흔히 들을 수 있던 특유의 코 먹은 소리가 거의 나지 않았고, 당시의 녹음기술로는 거의 녹음이 불가능했던 ‘sh’ 발음이나 ‘ch’ 발음 같은 파열음, 또는 가수의 숨 쉬는 소리도 문제없이 녹음해 낼 수 있었지요.
  에디슨의 고집으로 1927년 초까지 계속 기계식으로 녹음되던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1927년 6월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전기녹음 방식으로 녹음되기 시작했어요. 그러나 자체기술을 사용했던 에디슨의 전기녹음 음반은 빅터나 콜럼비아가 사용했던 웨스턴 일렉트릭 방식의 녹음 음반에 비해 모든 면에서 뒤떨어졌지요. 결국 다이아몬드 디스크 음반과 축음기의 판매는 계속 급감하다가 마침내 1929년에 이르러 완전히 중단되고 말았답니다.
  에디슨사의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완전히 수직으로 녹음된 것인데 반해 파테사의 디스크는 60도 각도로 녹음되었어요. 사운드박스에 사용하는 바늘 역시 작은 구슬이나 공 모양으로, 유리 혹은 사파이어 재질의 것을 사용했지요. 당시의 파테사의 디스크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크로 기계적인 복사를 거친 것이었는데, 이 때문에 같은 곡이 들어있는 같은 규격의 디스크라 할지라도 음질이 완전히 천차만별이었어요.
  파테 디스크는 1917년까지 계속 레이블 없는 다양한 크기의 레코드로 만들어져 판매되다가, 1918년에 비로소 파테의 트레이드마크인 수탉 상표가 그려진 종이 레이블이 붙은 디스크가 발매되었어요. 이시기의 음반은, 크기는 모두 12인치로 동일했고 회전수 역시 대략 80회전 전후로 동일했지만, 레이블의 색깔에 따라 음반의 가격에 차이를 두었어요.
  파테사 역시 1927년 1월에 가서야 뒤늦게 전기녹음 방식을 채택했지만, 1929년에 파테사가 영국 콜럼비아사에 매각되면서 파테 수직 디스크 정규반의 생산은 모두 중단되었답니다.

 


*사진 제목 및 출처
1.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미국 개인소장(eBay 출품 사진)
2. 1918년의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 축음기 및 다이아몬드 디스크 광고
3.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담는 종이 상자/미국 개인소장(eBay 출품 사진)
4. 초기의 시멘트 파테 디스크/프랑스 개인소장(eBay 출품 사진)
5. 보라색 레이블을 가진 종이 레이블 파테 디스크/한국 개인소장

감수 : 석지훈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