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관을 쓴 용 | |
한글학명 | 구안롱 |
---|---|
영문학명 | Guanlong |
생물학적 분류 | 용반류 수각류 |
식성 | 육식 |
발견지 | 유라시아 |
시대 | 후기 쥐라기 (16400만년전 ~ 14500만년전) |
|
1. 개요
구안롱는 후기 쥐라기 (1억 6400만 년 전 ~ 1억 45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원시적인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입니다.
구안롱의 이름은 ‘관을 쓴 용’라는 중국어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공룡정보
● 속 : 구안롱(Guanlong)
● 분류 : 수각류, 티라노사우루스류
● 길이 : 3m
● 무게 : 45~90kg
● 생존시기 : 후기 쥐라기 (1억 6400만 년 전 ~ 1억 4500만 년 전)
● 발견장소 : 중국
3. 공룡이야기
● 학명의 뜻 : 관을 쓴 용
● 특징
- 구안롱의 가장 큰 특징은 얇고 속이 비어있는 두개골의 볏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 이제까지 알려진 공룡의 볏 중 가장 정교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자들은 이 볏이 이성을 유혹하기 위하 수단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견된 화석에서 암수의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컷에게만 있었는지 암수 모두에게 있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 구안롱은 날렵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긴 목과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는 길쭉 하며 코 위에부터 눈 앞쪽까지 골즐과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습니다. 잘 발달된 뒷다리와 짧은 앞다리를 가지고 있어 이족보행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 몇 마리의 구안롱들이 구덩이에 서로 엉켜있어 죽은 곳이 발견되었습니다. 학자들은 구덩이에 빠진 구안롱이 구안롱과 다른 수각류를 잡아먹기 위하여 함께 죽어 화석이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전체적인 형태는 티라노사우루스와 전혀 다르지만 구안롱이 티라노사우루스류 속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구안롱의 앞이빨이 티라노사우루스류에서만 나타나는 D자형의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티라노사우루스류는 처음 출현했을 때 크기도 작도 머리도 작았지만 진화하면서 머리와 덩치가 커지고 앞발의 길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수 : 이융남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