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한글학명 | 부경고사우루스 |
---|---|
영문학명 | Pukyongosaurus millenniumi |
생물학적 분류 | 용반류 |
식성 | 초식 |
발견지 | 유라시아 |
시대 | 백악기 (14000만년전 ~ 만년전) |
|
1. 개요
부경고사우루스는 전기 백악기 (1억 3600만 년 전 ~ 1억30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한국의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발견된 초식공룡입니다.
부경고사우루스라는 이름은 발굴한 부경대학교 발굴팀에서 비롯하여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긴 목을 가졌으며 복원된 전시물은 현재 부경대학교 도서관 1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 공룡정보
● 속 : 부경고사우루스(Pukyongosaurus)
● 분류 : 용각형아목, 티타노사우루스류
● 길이 : 15~20m
● 무게 : 20~25톤
● 생존시기 : 전기 백악기(1억 3600만 년 전 ~ 1억3000만 년 전)
● 발견장소 :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앞바다 돌섬
3. 공룡이야기
● 별명 : 부경대학교 도마뱀
● 특징
- 부경대학교의 이름을 따서 공룡의 속명을 부경고사우루스 라고 정했고, 새천년이 시작되는 해에 발표했다고 해서 종명을 천년(millenniumi) 으로 붙였습니다. 2004년 1월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의 공룡 목록에서 속으로는 931번째로 등재되었습니다.
- 무거운 몸을 지탱하기 위하여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긴 꼬리는 중심을 잡는데 많은 역할을 했을 것입니다.
- 용각류인 부경고사우루스는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목뼈, 요추, 갈비뼈, 쇄골, 미추돌기 등이 발견되었으며, 전형적인 용각류 공룡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거대한 공룡의 방어 수단은 큰 몸집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몸집이 크고 길이가 긴 부경고사우루스는 두꺼운 다리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빠른 이동은 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경상남도 지역에서 풍부하게 발견되고 있는 용각류 공룡발자국의 주인공과 부경고사우루스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 보다 활발하게 진행될 예정입니다.
감수 : 임종덕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