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룡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한글학명 카우딥테릭스
영문학명 Caudipteryx
생물학적 분류 수각류
식성 초식
발견지 유라시아
시대 전기 백악기 (12500만년전 ~ 만년전)

사람과의 비교

×
  • 크기 : 약 0.4배
  • 무게 : 약 0.03배
  • 사람의 키 1.7m, 75kg 기준

234 2.5kg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내용

1. 개요

카우딥테릭스는 전기 백악기 (125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중국 북부인 유라시아지역에서 발견된 잡식공룡 입니다

수각류인 카우딥테릭스는 꼬리 날개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발견된 화석에서 깃털의 흔적을 볼 수 있는 아주 독특한 공룡이었습니다.

 

2. 공룡정보

: 카우딥테릭스(Caudipteryx)

분류 : 수각형아목, 카우딥테릭스과

길이 : 70cm~1m

무게 : 2.5kg

생존시기 : 전기 백악기 (12500만 년 전)

발견장소 : 중국 북부

 

3. 공룡이야기

별명 : 꼬리 날개

특징

- 아름답게 보존된 카우딥테릭스 두 마리의 화석을 발견했을 때 과학자들은 크게 흥분했습니다. 골격을 자세히 조사한 결과 카우딥테릭스는 수각류이지만 깃털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위가 있던 자리에는 위석이라는 작은 돌멩이들이 발견 되었습니다.

- 현재의 새와 많은 부분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는 카우딥테릭스 꼬리에는 깃털이 달린 부채 모양이며 균형을 잡는데 이용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카우딥테릭스는 무게가 2.5kg정도로 작은 몸집을 가지고 있으며 주둥이는 부리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중국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 카우딥테릭스 화석은 보존상태가 좋아 앞다리 깃털구조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색깔의 흔적 까지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몸의 현태를 가지진 카우딥테릭스는 작은 몸집으로 풀숲이나 숨어서 자신을 보호했으며 나뭇잎이나 과일, 씨 등을 먹고 살았습니다.

- 카우딥테릭스는 새의 형태와 비슷하였으나 날 수는 없었습니다. 잡식성 공룡입니다.

감수 : 임종덕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