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여수 석보 이미지
  • 여수 석보 이미지
  • 여수 석보 이미지
  • 여수 석보 이미지
  • 여수 석보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남해안과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여수석보
이름 여수 석보
시대 조선
분류 석성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여천동 868번지 일대
여수 석보 이미지
여수 석보 이미지
여수 석보 이미지
여수 석보 이미지
여수 석보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여수석보성은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튀어나온 반도지형으로서 남해안과 순천 등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만나는 결절점에 위치하고 있는 군사·교통의 요충지에 입지하고 있다. 해안가의 평평한 지역에 돌로 쌓아 육군들이 방어하던 진보(각 지방을 지키던 군사들이 주둔하던 작은 규모의 성)의 기능을 담당한 성이다.
1454년(단종 2) 이후 1457년(세조 3) 정월 사이에 축조되었으며, 1522년(중종 17) 돌산진에 흡수되면서 폐지되고, 관청용 물자를 보관하는 석창과 지방 장시로 기능이 변화되면서 사용되었다.
성벽의 길이 약 705m, 너비 5.7m이다. 부속 시설물로는 성문 3개, 성문과 옹성을 공격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성안에 높이 대를 쌓아 만든 시설인 적대 1개, 해자, 연못, 건물지 10여개소가 있다.

축조과학
남해안과 순천 등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여러 교통로가 교차하는 결절점에 위치하고 있는 군사·교통의 요충지에 입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평지에 쌓은 평지성으로서, 전체적인 형태는 정사각형이다. 그러나 네모서리의 각을 죽여 둥글게 처리한 점에서 다른 성곽과 차별성을 보인다.
성벽은 외벽 바깥쪽 1m 범위에서부터 내측의 약 4.15m~4.5m까지 약 5~5.5m 구간의 지면에 20㎝ 내외의 쪼갠 돌을 거칠게 다듬은 할석재와 판석재를 깔고, 성벽 등 건축물을 세우기 위해 터에 쌓은 돌인 지대석을 놓은 후 외벽을 돌로 쌓고 그 뒷면을 잡석과 자갈 등으로 채우는 뒤채움을 한 후 성벽의 윗부분과 성벽 안쪽으로 흙을 경사지게 덮어 마무리한 내탁법으로 축조하였다. 그런데 지대석 위에 20~30cm 가량 뒤로 물려 1~2.6m 정도의 대형 할석으로 전 구간에 걸쳐 첫째 단의 성돌을 세워서 쌓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2단부터는 상부로 갈수록 작은 성돌을 사용하여 쌓은 조선시대의 성곽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전 구간에 걸쳐 첫째 단의 성돌을 세워쌓기한 점은 다른 성곽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적인 양상이다.
서벽에서는 ‘구례시면’이란 글자가 새겨진 성돌이 확인되었다. 여수석보성을 쌓을 때 내륙지역의 고을 주민들이 동원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료로서 주목되고 있다.
여수석보성은 평지에 입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 구간에 걸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에 둘러 파서 만든 도랑인 해자를 설치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여수석보성의 서벽에서는 성내부의 연못으로부터 성벽 바깥쪽의 해자까지 이어진 배수로 및 수구 시설이 있어 당시의 축조수법을 잘 확인할 수 있다. 성 안의 물은 지대가 낮은 서벽 쪽에 치우쳐 있는 연못에 1차로 모이고, 물길을 땅 속으로 파서 보이지 않게 만든 암거형 배수로와 서벽 하단에 설치된 수구를 통해 성 밖의 해자로 배출하도록 처리하였다. 수구를 통과한 물은 지대석보다 낮은 위치의 물받이시설에서 받아낸 후 윗부분이 트인 개거형의 배수로를 통해 해자로 흘러나가게 처리하는 한편, 해자로 들어오는 물 역시 경사를 낮추어 자연스럽게 물이 유입되도록 과학적·기술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평면형태와 부대시설의 배치, 축성기법에서 나타나는 여수석보성의 특징들은 15세기 중반의 성곽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늠자가 될 수 있는 성곽사의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전라도 육군이 외적 방어의 임무를 맡아 보는 대표적인 요충지에 축조된 관방시설로서 기능하기 시작하여 세금을 수납하여 보관하던 창성 및 장시 등의 사회·경제적인 기능으로의 변화과정을 보여주어, 조선시대의 변화모습을 잘 살필 수 있는 드문 유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 복합유적으로 평가된다.

감수 : 고용규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