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그랭이기법으로 축조된 봉대산성
이름 무안 봉대산성
시대 통일신라
분류 석성
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고읍리 산 1-1번지 일원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무안 봉대산성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해제면 고읍리 서쪽에 위치한 해발 202.1m의 작은봉대산 정상부를 감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반도를 이룬 해제면 중앙부의 가장 높은 산에 자리 잡고 있어 신안·무안·함평·영광군 등 서남해안의 바닷길이 한 눈에 들어오는 요충지에 해당한다.
백제가 웅진(공주)에 도읍을 두었던 6세기 무렵에 도제현을 다스리기 위한 중심성곽(치소)으로 처음 쌓았으며, 통일신라시대에도 고을 이름을 해제현으로 바꾸어 고려시대까지 사용하였다.
성벽의 길이는 약 430m, 너비 5m, 면적은 약 6,587㎡이다. 부속시설물로는 통일신라-고려시대의 성문과 성벽의 일부를 네모꼴, 또는 둥근 모양으로 튀어나오도록 쌓아 성벽에 접근하는 적을 앞과 양쪽의 삼면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인 치 2개 등의 유구와 기와류, 토기류, 철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축조과학
성벽의 기초는 바위 돌을 ㄴ자 형태로 깎아내 성돌이 밖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한 후에 성벽을 쌓아 올렸다. 이러한 형태로 깎아내는 방법을 수직 삭토법이라 하는데, 방어에 유리한 급경사면을 쉽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바깥쪽 성벽 밑 부분과 안쪽 성벽은 점토와 푸석푸석한 돌이 많이 섞인 흑인 석비레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다져 쌓아 빗물이 스며들어 성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봉대산성에서는 지대석을 놓고 성벽을 쌓아올리는 새로운 기술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지대석은 지면과 맞닿은 부분에 놓아 성벽 상부로부터 미치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는 기능을 하는 받침돌이다. 봉대산성에서는 내·외벽 모두 성돌보다 2배가량 큰 장대석을 지대석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성벽이 통과하는 지형조건에 따라 배치를 다르게 하였다. 중앙부가 낮고 양쪽으로 가면서 오르막 경사를 갖는 남벽과 북서벽 치의 경우는 경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지대석을 놓아 성벽 위로부터 미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반해 평평한 지역에 있는 서벽의 경우는 지대석을 수평으로 놓았다. 지대석을 놓고 성벽을 쌓아올리는 축조기법은 통일신라시대의 성곽에 새로 도입된 것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주로 고구려 성곽의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는 그랭이기법이 암반과 지대석의 접합부 및 성돌의 가공 등에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대석의 밑면이나 측면을 바닥의 암석의 모양을 따라 다듬어 맞추는 방법을 그렝이기법이라고 한다. 정확하게 맞물리면 매우 안정적인 기초가 만들어져서 튼튼한 성곽을 쌓을 수 있다.
바깥쪽 성벽의 각 단은 네모 또는 긴 네모꼴로 잘 다듬은 성돌을 사용하여 수평줄눈을 맞추면서 3~5㎝ 가량 안쪽으로 들여가며 안정감 있게 쌓았다. 또한 벽돌을 쌓듯이 같은 줄 양옆에 2개를 놓고 윗줄과 아랫줄 2개는 반씩 물리게 쌓는 6합 쌓기로 틈새가 없이 잘 맞물려 쌓았다. 안쪽 성벽은 장방형으로 거칠게 다듬은 쪼개진 돌을 이용하여 수평줄눈을 맞추면서 수직으로 쌓아올렸다. 내벽은 지대석부터 6단까지는 점토나 뻘흙으로 다져 되메꾸어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처리하였다. 이렇게 쌓은 성벽은 혹시 일부 성돌이 빠져나가거나, 적들의 공격으로 성벽 밑 부분의 성돌이 뽑히더라도 쉽사리 무너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봉대산성은 통일신라시대 석축 산성 가운데 석재의 가공에서부터 성벽의 축조까지 최고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다. 성돌을 받치는 구실을 하는 지대석을 지면 위에 놓고, 규격화한 성돌을 사용하여 성벽을 쌓는 형식은 통일신라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그만큼 성벽의 구조와 안정성 면에서 뛰어난 산성으로 평가된다.

감수 : 고용규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