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지방을 다스리기 위해 쌓은 고사부리성
이름 정읍 고사부리성
시대 백제
분류 석성
소재지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 1-1번지 일원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정읍 고사부리성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북쪽에 위치한 해발 133m의 성황산의 정상을 성곽으로 둘러 감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으로 형태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반달모양이다. 말안장과 같이 양쪽이 높고 가운데가 낮은 지형의 바깥쪽으로 성벽을 둘렀다. 이와 같은 형태의 백제 산성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사방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백제가 부여(사비)에 도읍을 두었던 6세기 무렵에 지방을 5개 구역으로 나누어 다스릴 때 쌓은 5방 중 하나인 중방으로 고사성이라고 불렀다. 전라북도 고부 지역의 정치·군사의 중심지로 활용하기 위해 처음 쌓았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영조 40년(1764)까지 고을을 다스리는 중심성곽(치소)으로 여러 차례 성벽을 고쳐서 사용하였다.
성벽의 길이는 1,055m, 긴 쪽의 길이가 418m, 짧은 쪽의 길이 200m이며 면적은 63,484㎡이다. 부속시설물로는 백제~조선시대의 성문지 3개소와 돌로 쌓은 물을 저장하는 우물 1개소, 조선시대의 건물지 12동 등의 건물 유적과 기와·토기·자기류 등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축조과학
고사부리성은 백제가 사비시대에 효과적으로 지방을 다스리기 위해 쌓은 중요한 거점성이었기 때문에 백제시대 장인들은 성벽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해냈다. 먼저 성벽의 기초는 푸석푸석한 돌이 많이 섞인 흙으로 된 지층인 석비레층이나 바위 돌을 깎아내 턱을 만들어 성돌이 밖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한 후에 성벽을 쌓아 올렸다. ㄴ자 형태로 흙을 깎아낸 수직 삭토법은 방어에 유리한 급경사면을 쉽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바깥쪽 성벽 밑 부분과 안쪽 성벽은 점토와 파낸 석비레의 흙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다져 쌓아 빗물이 스며들어 성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성돌은 정사각형과 직사각방형으로 다듬어 규격화하였는데 앞면이 약간 볼록하면서 모서리 부분까지 곱게 다듬어서 백제 특유의 부드러움이 느껴진다. 특히, 서문과 북문에 쓰인 성돌은 마치 나무를 다듬듯이 굽은 각도에 맞추어 정교하게 다듬어서 백제시대 장인들의 뛰어난 돌 가공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바깥쪽 성벽의 각 단은 정사각형과 직사각방형으로 잘 다듬은 성돌을 사용하여 수평으로 가지런하게 줄을 맞추어 2~5㎝ 가량 안쪽으로 들여가며 안정감 있게 쌓았다. 또한 벽돌을 쌓을 때 같은 줄 양옆에 2개를 놓고 윗줄과 아랫줄 2개는 반씩 물리게 쌓는 6합 쌓기를 사용하여 틈새가 없이 잘 맞물려 쌓았다. 성벽을 쌓을 때 들여쌓기를 하는 이유는  수직으로 쌓을 때보다. 성벽의 무게중심이 아래에 놓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안쪽 성벽은 외벽에 사용된 성돌보다 덜 다듬은 성돌을 이용하여 거의 수직에 가깝게 쌓은 후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점토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다졌다. 그리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 채워 넣은 돌은 얇고 길쭉한 돌을 성벽과 반대방향으로 놓고 쌓았다. 이렇게 쌓은 성벽은 혹시 일부 성돌이 빠져나가거나, 적의 공격으로 성벽 밑 부분의 성돌이 뽑히더라도 쉽사리 무너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고사부리성은 백제시대 석축 산성 가운데 석재의 가공에서부터 성벽의 축조까지 최고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다.
남쪽의 성문을 정문으로 사용하였고, 방어에 취약한 서문과 북문은 성벽을 서로 엇갈리게 쌓아 어긋문 형태의 성문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어긋문 형태의 성문은 외부로부터 성문이 드러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적이 공격해 올 때 측면에서도 적을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성문보다 훨씬 방어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처럼 고사부리성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성문을 갖추고 있어 백제시대 성문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감수 : 고용규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