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한양 도성 방어와 북진의 전초기지, 북한산성 | |
이름 | 북한산성 |
---|---|
시대 | 백제 |
분류 | 석성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외 |
일반설명
북한산성은 경기도와 서울시의 경계에 자리한 북한산의 험준한 봉우리들을 이어서 축조한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백제 개루왕 5년(132년)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년)에 몽골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7년)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년)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성곽의 둘레는 12.7km이며 평면은 남북이 긴 정사각형을 띠고 있다.
성벽은 비교적 낮은 곳부터 해발 700m 이상의 봉우리 능선부까지 축조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산성 내에는 14개의 성문과 3개소의 장대 등의 시설물이 설치되었다. 또한 성내에는 상원봉 아래 130칸의 행궁과 140칸의 군대의 창고가 있었으며,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 2개의 암자, 8개소의 일반 창고, 99개의 우물, 26개소의 저수지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다.
축조과학
성벽은 평지에는 성벽을 높게 쌓고 산지로 오르면서 점점 낮게 쌓았으며, 정상주변에는 적의 화살이나 총알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낮게 쌓은 담장인 여장만 설치하였다. 전체의 1/3구간은 급경사에 자연암반이 노출되어 있는데, 이 자연암반 자체가 성벽 구실을 했다.
축성 방법은 외벽만 질서 있게 쌓는 편축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성문과 계곡부 등 일부구간은 성의 안팎으로 모두 성벽을 볼 수 있게 쌓은 협축 공법으로 쌓아올렸다. 성돌은 크고 네모반듯하게 만든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쌓아올렸다. 담장시설인 여장에는 몸을 가리고 조총을 쏠 수 있도록 구멍을 냈는데, 멀리 쏠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게 만든 원총안과 가까이 쏠 수 있도록 경사가 급하게 만든 근총안을 마련하였다.
한산성이 위치한 북한산은 28개의 험난한 봉우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계곡이 산재하여 풍부한 수량과 넓은 공간을 제공해 주는 천혜의 요지로써 한강유역을 지키는 요새로 고대부터 중요시 여겨졌다. 북한산성은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해 고대에는 한성방어와 북진을 위한 전초기지로써 고려시대에는 잦은 북방민족의 침입에 따른 피난처로써 기능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석성으로 고쳐쌓고 행궁까지 마련할 정도로 도성 방위에 있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