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한강유역의 고구려,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름 아차산일대 보루군
시대 고구려
분류 석성
소재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랑구, 노원구 및 경기도 구리시 일대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아차산일대 보루군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한강유역의 고구려 성곽은 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굽이치는 물줄기가 끝나는 곳에 자리한 아차산 일대에 축조되었다. 아차산에는 아차산보루군, 망우산보루군, 홍련봉보루군, 시루봉보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보루란 둘레가 300m의 이내로 작은 성을 말한다. 아차산 일대의 보루들은 5세기 후반 고구려가 백제를 침공한 후 한강유역을 지키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사료가 전해주지 못하는 고대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때문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2004년 아차산 일대의 보루군 17개소가 국가 사적 제 455호로 지정되었다.
아차산은 구리시 서쪽과 서울시 동쪽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중랑천과 왕숙천이 흐르는데 이 하천들은 고대에 남과 북으로 진출하는 중요 교통로였다. 아차산에 오르면 이 교통로와 주변의 평야지대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어 전쟁 시 적의 접근과 움직임을 쉽게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아차산은 고대에서 지금까지 군사적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아차산의 보루들은 능선상의 작은 봉우리들 정상에 자리해 있는데, 보루들 사이의 거리는 400~500m이다. 보루들은 대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을 이루며 기본적으로 성벽과 내부 시설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차산 일대 보루군은 475년 장수왕의 한성백제 함락에 관한 기록을 사실과 같이 여실히 보여주는 동시에 고구려의 한강유역 경영과 당시 생활모습까지도 복원할 수 있게 만든 우리나라의 소중한 고구려 유적이다.

축조과학
성돌은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화강암을 이용하였다. 아차산 4보루처럼, 반듯하게 잘 다듬은 돌로 질서 있게 쌓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잘 다듬지 못한 돌을 사용한 경우가 많다. 성벽에는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시설인 치를 1~2개씩이 설치되었는데, 아차산 4보루에서는 5개의 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치는 성벽 가까이 침입해 오는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또 공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전쟁 시 승패를 좌우할 수 있을 만큼 매우 중요한 시설이었다.
아차산 일대의 보루들은 인접한 보루들 간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출입시설이 있었다. 또 내부에서는 여러 기의 건물들과 저장시설, 방앗간, 단야시설 등이 발견되어 이를 토대로 한강 유역에 주둔한 고구려 병사들의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특히, 고구려 온돌시설은 추운 날씨를 이겨냈던 고대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발견이다.

감수 : 백종오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