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토성 축조 방법을 석축 성벽에 적용한 호점산성 | |
이름 | 보은 호점산성 |
---|---|
시대 | 고려 |
분류 | 석성 |
소재지 |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용곡리 |
일반설명
호점산성은 보은군 회남면 용곡리에 위치하고 있다. 산성은 사방이 높은 산봉우리이고, 중앙에 넓은 골짜기가 있는 이른바 고로봉형의 석축 산성으로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부정타원형이다. 산성의 둘레는 2,400~2,500m 정도이다. 문터는 서북문터를 비롯하여 모두 7곳에 문터가 마련되어 있다.
산성의 북쪽으로 문의에서 회인으로 통하는 왕재와 염티재가 있다. 이 왕재와 염티재는 금강의 수로교통을 통하여 공급되는 소금과 생선 등의 물자를 금강의 포구가 위치하고 있었던 문의에서 회인과 보은을 거쳐 경상도 상주 방면으로 이동하는 교통로이다.
축조과학
호점산성의 석축성벽 중에는 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기둥 홈이 확인되고 있다. 석축성벽에서 확인되는 기둥 홈은 성벽의 안쪽 벽면에 적용된 것과 바깥 벽면에 적용된 것이 있으며, 안쪽과 바깥쪽의 양쪽에 적용된 곳도 남아 있다.
석축벽면에서 기둥 홈이 확인되는 것은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기둥을 세우고 성벽을 축조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성벽이 통과하는 지점의 안팎으로 기둥을 세우고 성벽을 축조한 후 기둥을 제거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 홈은 성벽 축조가 완료된 후 당초에는 작게 쪼갠 돌을 이용하여 기둥 홈을 메웠던 것인데, 이렇게 기둥 홈을 메운 것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와 작은 돌이 모두 빠져 기둥 홈이 그대로 노출된 경우가 동시에 확인되고 있다.
기둥 홈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성벽 자체의 기동 홈 간격은 415~425cm, 기둥의 규모는 직경 15cm 내외의 것을 사용했다. 기둥을 설치하고 석축성벽을 축조하는 방법은 토성의 축조방법이 석축성벽에 적용된 예로서 호점산성은 그 가장 대표적인 산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 단기간에 걸쳐 성벽을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