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군사적 요지에 위치한 동래고읍성
이름 부산 동래고읍성
시대 통일신라
분류 토성
소재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640-1번지, 868-1~4번지, 987-64구, 681-3번지 일원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부산 동래고읍성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동래고읍성은 배산의 동남쪽 구릉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구릉과 평지를 포함하는 평산성으로 평면 형태는 말각방형(모서리가 둥글게 다듬어진 네모모양)에 가깝다. 고읍성의 동남쪽으로는 동남해안으로 흘러가는 수영강이 흐르고 있어 대외, 군사적으로도 요지에 위치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동래현 고적조에 “고읍성이 해운포에 있으며 동남쪽은 석축, 서북쪽은 토축인데 둘레가 4,430척이며 지금은 퇴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어 현 동래지역에 석축의 읍성이 축조되기 이전의 읍성임을 알 수 있다. 
성내에서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건물터, 우물터 및 제방 등이 확인되었다. 동래군이 설치된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 현종 12년(1021년) 당시의 동래군성을 수리하였다는 기록으로 볼 때 성벽의 1차 수리는 11세기 전반으로 추정되고, 2차 수리는 2차 수리 때 생긴 기와 퇴적층에서 고려 후기 기와가 거의 출토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3세기 중반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성곽이 폐성된 시기는 구상유구에서 출토된 임신명 상감청자의 연대로 볼 때 공민왕 당시의 왜구 침입이 날로 심해져 가던 14세기 중반 경으로 보고 있다.

축조과학
성곽은 기본적으로 구릉 경사면을 ‘L'자상으로 땅을 깎아 그 위에 석축의 기단을 조성하고 그 위에 판축다짐 한 기단석축식 판축토성으로 밝혀졌다.
토성의 외벽을 잘라 본 결과 원 성벽과 수리한 성벽이 확인되었으며, 토성을 쌓을 때 사용된 기둥의 구멍이 성벽의 외벽과 내벽에서 400cm~430cm 간격으로 확인되었다.

감수 : 나동욱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