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텃새
우리나라 사람들과 가장 가깝게 살고 있는 대표적인 텃새 | |
이름 | 참새 |
---|---|
분류 | |
학명 | Passer montanus |
영명 | Eurasian Tree Sparrow |
몸길이 | 약 10~15cm |
수명 | 약 5~6년 |
사는 곳 | 도시, 농촌 등 마을 주변 |
먹이 | 잡식성 (꽃의 꿀, 곤충, 벼 이삭, 씨앗 등) |
특 징
◈ 부리는 짧고 단단해서 곡식을 쪼아 먹기에 알맞다.
◈ 꽁지깃은 날 때 방향을 잡는 역할을 한다.
◈ 여름에는 해로운 곤충을 잡아먹어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만, 가을에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 모래와 물을 이용해 목욕하는 것을 좋아한다. 부리로 물을 쪼아 몸에 바르기도 하고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등 목욕을 통해 몸에 붙어 있는 진드기, 먼지, 비듬 등을 털어낸다.
◈ 두 발로 뛰면서 땅 위에 내려와 먹이를 찾거나 농작물의 알곡을 먹는다.
◈ 한쪽 눈으로 먹이를 찾아 낸 다음 양쪽 눈을 사용해 먹이를 보며 쪼아 먹는다.
◈ 번식이 끝나고 가을이 되면 무리를 이루어 집단으로 겨울을 난다.
◈ 참새는 산림성 조류를 관찰할 때, 발견한 새의 크기를 비교하는 ‘자’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하여 ‘자새’라고도 불린다.
번식정보
◈ 인가의 건물 틈에 마른 식물의 뿌리를 이용하여 둥지를 만들고, 내부에 동물의 털을 깐다.
◈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7개이다. 알을 품는 기간은 12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약 14일 후에 둥지를 떠나며, 약 10일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공급 받는다.
◈ 새끼를 키우는 어미새는 둥지에서 200m 이상 멀리 날아가지 않으며, 하루에 600회 이상 먹이를 나르고 새끼가 자랄수록 그 횟수는 줄어든다.
구별하기(동정 포인트)
◈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다.
◈ 등은 갈색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목뒤에는 흰색 가로줄이 있고 날개에는 두 개의 흰색 띠가 있다. 배는 회색이다. 겨울에는 부리 아랫부분에 노란빛이 나타난다.
◈ 어린 새는 어른 새가 될 때까지 부리의 기부가 노란색이다.
◈ 흰색 바탕의 뺨에 검은색 반원의 점이 있어 섬참새와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