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텃새
검정색 긴 넥타이를 한 수다쟁이 텃새 | |
이름 | 박새 |
---|---|
분류 | |
학명 | Parus major |
영명 | Great Tit |
몸길이 | 약 14cm |
수명 | 약 7~9년 |
사는 곳 | 산림, 공원, 정원 등 |
먹이 | 곤충, 식물의 씨앗 등 |
특징
◈ 산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식충(벌레를 잡아먹음)성 조류이며, 도심의 공원에서도 쉽게 관찰된다.
◈ 먹이활동을 통해 해충구제에 기여하고 있어 생태계 건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번식은 기후변화 특히, 온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기온변화에 따라 번식시기가 조절된다(기온에 따라 곤충발생, 새끼 생육조건이 달라진다.).
◈ 가을부터 겨울에는 여러 종류의 박새들이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주도권은 주로 박새가 지닌다.
◈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나무에 땅콩이나 돼지비계 등을 매달아 두면 날아와 먹는다.
◈ 노랑턱멧새와 같이 한 지역에 머무르는 특성이 있어 지역 간의 소리변이 즉, 방언을 연구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표본이 되는 새이다.
번식정보
◈ 나무 구멍, 돌 틈, 전봇대 구멍, 건물의 틈새, 인공새집 등에 풀과 이끼를 이용해 푹신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 인공새집을 이용한 번식률이 상당히 높아요. 인공새집의 입구 구멍은 보통 3.5~4cm 정도이며, 크기가 크면 외부 위협(천적의 침입, 둥지 노출 등)으로 잘 이용하지 않는다.
◈ 번식기 먹이활동(애벌레 등 곤충 섭취)을 고려해 침엽수보다는 활엽수가 많은 곳을 더 선호한다.
◈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4~13개이며, 암컷이 알을 품어요. 알을 품는 기간은 12~13일이며, 부화 후 20~2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 먹이는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먹인다.
구별하기(동정 포인트)
◈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나 배 가운데의 검은색 세로줄의 폭이 암컷이 수컷에 비해 다소 얇다.
◈ 머리꼭대기와 목은 검은색이다. 뺨은 흰색이며, 배 가운데 한 줄로 된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 날개는 어두운 회색이고 날개 가운데 한 줄로 된 흰색 얇은 가로띠가 있다. 등 위쪽은 회색바탕에 연두색이있다.
◈ 부리와 다리는 진한 회색이다.
◈ 어린 새는 배 가운데의 검은색 세로줄이 희미하며, 다리가 회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