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텃새
갯벌의 연미복 신사 | |
이름 | 검은머리물떼새 |
---|---|
분류 | |
학명 | Haematopus ostralegus |
영명 | Eurasian Oystercatcher |
몸길이 | 약 45cm |
수명 | 약 12년 |
사는 곳 | 서해안의 강 하구나 해안, 인근 섬 |
먹이 | 잡식성(게, 굴, 조개, 곤충, 갯지렁이, 어류 등) |
내용
특징
◈ 우리나라 해안가 주변에 서식하는 텃새로, 서해 일대에서 집단으로 월동하고, 번식기에는 강 하구나 해안, 섬의 땅 위에 둥지를 튼다.
◈ 조개류를 먹을 때는 부리를 껍질 사이에 넣어 열거나 날아올라 바위 등 단단한 곳에 떨어뜨려 깨서 먹는다.
◈ 둥지나 새끼근처에 천적이 나타나면 어미새는 소리를 내며 천적의 주위를 선회하는 행동을 해 천적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김으로써 둥지 및 새끼를 보호한다.
◈ 천연기념물 326호로 지정되어 있어요.
번식유형
◈ 번식기인 4∼6월에는 암수가 짝을 지어 생활한다.
◈ 주로 서해안의 해안, 섬에서 바위 등의 오목한 곳에 작은 자갈, 나뭇가지, 마른풀, 조개껍질 등을 깔아 알자리를 만든다.
◈ 알은 보통 2∼3개 정도 낳으며, 색깔은 옅은 갈색바탕에 흑갈색이나 회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 알을 품는 기간은 약 21∼33일 정도이며,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
구별하기(동정 포인트)
◈ 다른 새들과 구별이 뚜렷하다.
◈ 암수의 외부형태 구별이 어렵다.
◈ 머리, 목, 등은 검은색이며, 가슴과 배, 허리는 흰색이고, 부리와 다리, 눈은 붉은색이다.
◈ 날 때 날개 윗면의 흰색 띠가 보인다.
◈ 어린 새는 색이 전체적으로 흐리며, 부리 끝이 검은색이다.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