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과학관

제755호 '17.1.5

Webzine

지난호 보기

지구과학천체자료

인류가 천체와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가진 때는 언제부터 일까요? 이 관심은 아득히 먼 선사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원전 3300 ~ 1500년경부터 고대 브리튼인이 동지와 하지를 구분하였고, 정밀한 태양력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피자를 더 많이 먹는 수학적 방법!

피자를 어떻게 나누면 공평하게 먹을 수 있을까? 또는 더 많이 먹을 수 있을까?
오래전부터 많은 수학자들이 연구했던 단골문제다. 대부분 사람들은 피자를 자를 때 나타나는 모든 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가게끔 긋는다. 이때에는 내가 먹은 양이 개수에 비례한다. 하지만 만약 이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피자 조각마다 크기가 서로 다를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내가 가장 많이 먹고 싶다면 무조건 크기가 큰 조각만 골라먹으면 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면 결국 누가 가장 많이 먹었는지 알 수 없다. 이렇게 식탐이 가득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괴짜 수학자들이 있었다.

스/마/트/과/학/관

과학주제 V3.4 각 과학주제를 목록이나 연대기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주제별 이야기도 가득 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전문가 및 자문위원분들이
검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입니다.
오늘의 주제 "사물인터넷 플랫폼"

큰개자리(Canis Major : CMa)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을 포함하고 있는 큰개자리는 오리온자리의 삼형제별을 동쪽으로 연장하여 찾을 수 있다. 시리우스를 중심으로 위쪽 3개의 별이 머리에 해당하고 나머지를 연장하면 앞다리와 뒷다리 꼬리등을 그릴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 별이 떠오르는 날을 1월1일로 하여 태양력을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
사이버 교육

지구과학천체자료

인류가 천체와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가진 때는 언제부터 일까요? 이 관심은 아득히 먼 선사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원전 3300 ~ 1500년경부터 고대 브리튼인이 동지와 하지를 구분하였고, 정밀한 태양력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1월 교육
생활에 밑줄을 긋는 과학이야기

피자를 더 많이 먹는 수학적 방법!

피자를 어떻게 나누면 공평하게 먹을 수 있을까? 또는 더 많이 먹을 수 있을까?
오래전부터 많은 수학자들이 연구했던 단골문제다. 대부분 사람들은 피자를 자를 때 나타나는 모든 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가게끔 긋는다. 이때에는 내가 먹은 양이 개수에 비례한다. 하지만 만약 이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피자 조각마다 크기가 서로 다를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내가 가장 많이 먹고 싶다면 무조건 크기가 큰 조각만 골라먹으면 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면 결국 누가 가장 많이 먹었는지 알 수 없다. 이렇게 식탐이 가득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괴짜 수학자들이 있었다.
스마트과학관 과학주제 이야기

스/마/트/과/학/관

과학주제 V3.4

각 과학주제를 목록이나 연대기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주제별 이야기도 가득 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전문가 및 자문위원분들이
검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입니다.

오늘의 주제
"사물인터넷 플랫폼"
천체관 별자리 이야기

큰개자리(Canis Major : CMa)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을 포함하고 있는 큰개자리는 오리온자리의 삼형제별을 동쪽으로 연장하여 찾을 수 있다. 시리우스를 중심으로 위쪽 3개의 별이 머리에 해당하고 나머지를 연장하면 앞다리와 뒷다리 꼬리등을 그릴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 별이 떠오르는 날을 1월1일로 하여 태양력을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
페이지 스크롤 탑으로 바로가기